출처
https://devcompass.co.kr/%EC%95%B1-%EC%A0%9C%EC%9E%91/
앱 제작, 어플리케이션 제작 과정 완벽 정리 • DevCompass
이 글은 앱 제작 과정을 상세히 정리하였습니다. 앱 개발 아이디어가 있는 기획자, IT 스타트업 관계자, 1인 개발자 등 어플리케이션 제작 과정을 알고자 하는 분들에게 유용한 글입니다. 앱 제
devcompass.co.kr
곧 있을 면담에서 순서 및 방향을 잡아주실 것 같지만 감이 오지 않아서 앱이 개발되는 과정을 찾아보았다.
잘 정리되어있는 문서를 발견하였고, 내 수준에서 필요한 부분만 정리해보았다. 자세하고 전문적인 정보는 해당 링크에서 보길 바란다.
서비스 구상 및 프로젝트 구성 -> 앱 기획 -> 기술 검토 및 견적 -> 앱 디자인 -> 서버 개발 -> 앱 개발 -> 앱 테스트 -> 앱 배포
1. 서비스 구상 및 프로젝트 구성
2. 앱 기획
1) 플로우 차트 작성
2) 와이어 프레임 작성 (카카오 OVEN 추천:https://ovenapp.io/)
3) 상세기능리스트 작성
3. 기술 검토 및 견적
1) 서버 사용 여부 결정
- 개인정보 및 비번은 보안이 철저해야한다.
- 삭제 되어도 상관 없는 정보나 캐시는 사용자 스마트콘 로컬 DB에 저장 가능하지만 중요한 정보는 서버에서 따로 관리하여야 한다. 따라서 대부분 서버를 두어 데이터의 저장과 처리를 담당한다.
2) 서버 아키텍처 설계
-개발 언어, 프레임 워크 결정
-서버 사양, 네트워크, DB사양 결정
-프로젝트가 큰 경우 소스 형상 관리, 이슈 트래킹, 빌드 및 배포 시스템 구성
3) 앱 아키텍처 설계
앱 | 네이티브 앱 | 속도가 빠르고 안드로이드, iOS와 같은 플랫폼에 종속되므로 각각 따로 개발해야 한다. |
모바일 앱 |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며 배포할 수 없고 속도가 느리다. | |
하이브리드 앱 | 위의 두 가지의 혼합형 |
- 서비스하고자 하는 기능과 앱 배포 방법, 개발인력 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.
4) 지원 플랫폼 결정 (안드로이드, iOS)
5) 지원 API 버전 결정
6) 지원 디바이스 결정(파편화 문제)
7) 프로젝트 기간 및 견적 도출 (앱 출시 후 운영 계획 및 비용까지 고려)
-서버 아키텍처와 앱 아키텍처 설계, 지원 플랫폼, 지원 API 버전, 지원 디바이스 목록을 모두 문서화하여 정리한다.
2. 앱 디자인
1) 디자인 가이드 검토
Android 개발자 | Android Developers
Android를 위한 디자인 Android 사용자는 앱이 플랫폼과 일관된 방식으로 표시되고 작동하기를 기대합니다. 개발자는 시각적 패턴 및 탐색 패턴을 위해 머티리얼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준수해야 할
developer.android.com
2) 유사 어플리케이션의 UX/UI 사례 검토
-핀터레스트 등
3) 테마 선택
- 안드로이드와 iOS에서 제공하는 스타일과 테마 존재.
- 앱의 주 색상과 보조 색상 선택
4) 테마 커스텀 작업
3. API 서버 개발
1) 인터페이스 설계
- 서버와 앱이 주고 받을 데이터와 인터페이스 설계해야 함
- 앱 개발= 클라이언트 개발=프론트엔드 개발
-서버 개발=백엔드 개발
-API =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, API방식에는 SOAP, /RESTful이 있다. 요즘은 RESTful 사용
-데이터 포맷은 JSON이나 XML사용
2) DB 설계
-DB에는 RDB와 noSQL로 나뉨.
3) 개발 환경 세팅 및 개발 진행
4 앱 개발
5. 앱 테스트
'etc. > 프로젝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앱개발] (0) | 2023.03.08 |
---|---|
chapter 5. 프로젝트 설계 (0) | 2022.07.01 |